바로가기 메뉴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하단메뉴 바로가기

봉정사

  •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봉정사

사찰소개 자연환경 역사 가람배치 문화재 인물 설화 안내
봉정사의 역사
    • 봉정사는 672년(문무왕 12)에 창건하였다고 하는데, 창건주에 대한 내용은 기록마다 약간씩 차이가 있다. 「양법당중수기(兩法堂重修記)」의 내용에는 봉정사의 창건주가 의상대사(義湘大師)라 전하고, 극락전의 상량문에는 능인대사(能仁大師)가 창건주라고 적혀있다.

      이 두 기록은 조선 중기에 작성된 것으로 절의 역사를 전하는 가장 오래된 문서이며, 이러한 창건과 관련된 기록은 각색되어 창건설화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능인대사는 의상대사의 제자이고, 『삼국유사(三國遺事)』등에 따르면 의상대사가 귀국 후 처음으로 창건한 절이 부석사라고 하는데 봉정사가 세워진 672년은 부석사 보다 4년 앞선 시기이므로 봉정사의 창건주는 의상 대사보다는 능인대사일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 봉정사 전경 봉정사 극락전 편액
    • 목조관세음보살좌상 목조관세음보살좌상 - 문화재청
    • 창건 이후 절의 역사는 정확히 전해지지는 않지만 현존하는 전각 등으로 볼 때, 고려와 조선시대에도 높은 사격을 지니고 법등이 지속되었음이 분명하다. 고려시대의 유물로 전해지는 것으로는 목조관세음보살좌상(보물 제1620호)과 극락전(국보 제15호)을 들 수 있다. 목조관세음보살좌상은 사찰에 전하는 「대웅전관음개금현판(大雄殿觀音槪金懸板)」과 1753년에 쓰여진 「중수원문(重修願文)」을 통하여 1199년(고려 신종 2)에 처음 조성되어 1363~64년 사이와 1751~53년 사이에 중수된 상임을 알 수 있다. 양식적으로도 이 관음보살상은 중국 남송대의 불상이나 12세기 말에서 13세기 전반으로 추정되는 안동 보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이나 서산 개심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등과 비교 된다. 따라서 이 상은〈대웅전관음중수현판기〉에 기록된 대로 승안(承安) 4년, 즉 1199년 무렵에는 조성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극락전의 경우 1972년 중수하는 과정에서 발견된 상량문이 발견되었다. 상량문에는 고려 후기인 1363년(공민왕 12) 3월 전각의 지붕을 중수하였다는 내용이 적혀 있는데, 그 내용에 따르면 극락전은 적어도 그보다는 앞선 시기인 고려 중기의 건물로 생각된다.

      봉정사는 임진왜란 때도 화를 입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조선시대부터 최근까지도 여러 차례 중수가 이루어져 본래의 모습을 많이 간직하고 있다.
연표
봉정사 연표
연대 내 용
672년 의상대사의 제자 능인대덕이 창건
1199년 목조관세음보살좌상 조성
1363년 극략전의 옥개부를 중수(1972년 극락전 해체·복원 시 상량문 발견, 극락전의 건립연대는 적어도 1200년대 전후로 현재까지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건물로 인정)
1516년 퇴계 이황이 사촌동생 이수금과 함께 절에 머물며 공부함, 일주문 아래 계곡에 있는 명옥대는 본래 낙수대 였는데 이 무렵부터 이황이 고쳐 부른 이름임
1616년 고금당율 고쳐지었고, 1625년 3월에는 용수사의 전 주지 축담 스님이 퇴락한 대장전율 중수
1712년 대웅전의 후불도률 조성
1809년 승려 대영, 재익, 지원, 서생 등이 힘을 모아 극락전과 대웅전을 중수
1863년 등촉계의 시주금으로 전각 일부를 수선
1882년 현판을 고쳐 칠합함
1969년 고금당을 해체·복원
1972~1975년 극락전을 해체·중수
1999년 영국 여왕 엘려자베스 2세가 방문
2000년 대웅전 지붕 보수공사 과정에서 상량문 발견, 대웅전 내 목조 불단에서 고려 말에 제작했다는 묵서가 발견됨